값을 표현하는 리터럴

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면서 리터럴(literal)이라는 단어를 쉽게 볼 수 있다. 친숙하지만, 친숙하지 않은 리터럴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? 위키백과에서 정의한 리터럴은 아래와 같다.

리터럴(literal)이란 소스 코드의 고정된 값을 대표하는 용어이다.

리터럴은 사전적 의미 “문자 그대로의”처럼 값 자체를 의미한다. 즉, 계산으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가 아닌 프로그램 내에서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값 자체가 되는 것이다. 조금 더 덧붙이자면 리터럴은 변수와 상수에 저장되는 값인 셈이다. 이처럼 문자열 리터럴, 배열 리터럴, 정수 리터럴 등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요소로서 리터럴로 불린다.

123 // 숫자 리터럴
let a = 7; // a는 변수이고, 7은 리터럴이다.
'I love you' // 문자열 리터럴
{ name : 'hyun', age : 27 } // 객체 리터럴

이처럼 소스 코드를 구성하는 작은 요소 하나하나가 모두 리터럴이다.

Reference


hyun
Hello, I'm@hyun
개발을 진심으로 즐길 수 있는 개발자가 되기를 희망합니다. 블로그에서는 개발과 관련된 일련의 경험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

GitHubTILInstagram